장애인 건강검진 지원사업

장애인 건강검진 지원사업이란?

장애인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국가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.

장애유형별 특화 항목이 추가되며, 편의시설과 전문인력을 갖춘 지정기관에서 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검진 비용은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 전액 또는 일부 지원됩니다.

지원 대상

• 만 19세 이상 등록장애인
• 일반 건강검진 대상자와 동일한 2년 1회
• 암검진은 연령별 주기 적용
• 중증장애인 우선, 희망자 모두 대상 확대
• 지자체 또는 보건소 판단 대상자 포함

검진 항목 안내

기본 항목: 혈압, 혈당, 간기능, 신장기능, 고지혈증, 흉부X선 등

장애유형별 특화 항목:
• 시각장애인: 시력·안저검사
• 청각장애인: 청력·뇌파검사
• 지적·자폐성: 인지기능, 정신건강
• 지체장애인: 근골격·보행기능 평가

검진 절차 안내

1. 지정기관 확인 및 예약 (공단·복지부 홈페이지)
2. 문진표 작성 및 기본검사 진행
3. 장애유형에 맞춘 맞춤형 특화검진
4. 결과 안내 및 필요 시 전문 진료 연계

검진기관 편의시설

• 휠체어 출입구, 엘리베이터
• 점자 안내, 수어 통역 지원
• 보호자 동행 진료 가능
• 장애인 응대 전문 교육 수료 의료진 배치
※ 지정기관은 112개 중 약 20개 운영 (확대 예정)

전문인력 교육 및 질관리

연 2~3회 실무교육 시행:
• 장애 이해, 검사 유의사항
• 응급 대처 및 보호자 소통법

검진기관 평가 및 만족도 조사 기반 제도 개선 지속

비용 및 2025년 제도 확대

• 국가 또는 지자체가 전액 또는 일부 비용 지원
• 암검진 포함 시 동일 원칙 적용
• 일부 지자체는 사후관리 연계비용도 지원

2025년 주요 개선:
– 지정기관 확대, 지역 격차 해소
– 발달장애 맞춤 프로그램 강화
– 모바일 예약 시스템 도입
– 결과 연동 시스템 및 주치의 제도 연계